가나(仮名)는 일본어 음절문자로 한 글자가 자음+모음의 음가를 가진다.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두 종류가 있다.
- 히라가나(平仮名, Hiragana, ひらがな): 한자의 초서체에서 만들어짐.
- 가타카나(片仮名, Katakana, カタカナ): 대부분 한자의 일부분을 따서 만들어짐. 외래어, 의성어, 의태어 등의 표기에 사용됨. 한자의 한쪽이라는 뜻에서 片+가나라 이름.
현대 히라가나 오십음도
ㅏ 단 | ㅣ 단 | ㅜ 단 | ㅔ 단 | ㅗ 단 | |
ㅇ | あ | い | う | え | お |
ㅋ | か | き | く | け | こ |
ㅅ | さ | し /shi/ | す | せ | そ |
ㅌ | た /ta/ | ち /chi/ | つ /tsu/ | て /te/ | と /to/ |
ㄴ | な | に | ぬ | ね | の |
ㅎ | は | ひ | ふ | へ | ほ |
ㅁ | ま | み | む | め | も |
야 | や | ゆ | よ | ||
ㄹ | ら | り | る | れ | ろ |
와 | わ /wa/ | を /wo/ | |||
ん /n/ |
현대에 쓰이지 않는 가나는 제외하고 적었기 때문에 사실 50개는 안되지만 편의를 위해 그렇게 부른다고 한다. 행 순서대로 아카사타나/하마야라와 이렇게 기억하면 외우기 쉬울 듯.
보면 알겠지만 모음이 기본적으론 다섯 개(ㅏㅣㅜㅔㅗ)밖에 없다.
쓰는 순서와 외우는 방법은 이 영상 참고.
탁음(濁音) 및 반탁음
ㅏ 단 | ㅣ 단 | ㅜ 단 | ㅔ 단 | ㅗ 단 | |
か 행 (ㅋ → ㄱ) |
が | ぎ | ぐ | げ | ご |
さ 행 (ㅅ → ㅈ) |
ざ /za/ | じ /ji/ | ず /zu/ | ぜ /ze/ | ぞ /zo/ |
た 행 (ㅌ → ㄷ) |
だ | ぢ (*) | づ (*) | で | ど |
は 행 (ㅎ → ㅂ) |
ば | び | ぶ | べ | ぼ |
は 행 (ㅎ → ㅍ) |
ぱ | ぴ | ぷ | ぺ | ぽ |
※ 맨 밑 행만 반탁음
※ 별표(*) 표시한 ぢ, づ는 자주 사용되지 않음
히라가나엔 탁음과 반탁음이 있다. 탁음은 발음할 때 성대가 진동하는 유성음을 말한다고 한다. 음운학의 청탁에 유래하고 있다고 함.
여기서도 역시나 현대에 잘 안쓰이는 가나는 적지 않았다.
- 탁음: 탁점(゛)을 붙인다.
- 반탁음: 반탁점(゜)을 붙인다.
요음(拗音)
ㅣ + [ゃ(ㅑ), ゅ(ㅠ), ょ(ㅛ)]
요음은 일본어에서 /j/ 반모음을 표기할 때 사용한다. や행의 가나를 축소한 버전이다. い를 제외한 い(ㅣ)단의 가나와 결합되어 사용된다.
한글엔 반모음 표기가 따로 없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. 예를 들면 'ㅑ'의 경우 'j+ㅏ'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서 /j/를 반모음이라고 한다.
- きや: 키야
- きゃ: 캬
요음을 구별해 적는 방법이 없을 때는 위처럼 '키야'와 '캬' 같은 발음을 구별할 수 없었다고 하는데 이젠 요음으로 구분 가능하다. 후리가나는 작게 쓴 가나를 더 작게 쓰기 어렵기 때문에 발음 구분 없이 가나를 동일한 크기로 적는다고 한다.
촉음(促音)
っ. 단어중의 つ가 か·さ·た·ぱ(k, s, t, p)행 앞에 올 때 つ를 작게 표시한 것이다. 촉음은 뒷 말(k, s, t, p)과 동일한 음가를 가진다. 촉음이 있을 땐 뒷 글자 자음을 세게 발음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.
- あっさり(앗싸리, assari: 간단하게)
- がっこう(각꼬우, gakko: 학교)